MDM 솔루션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서버가 필요한데, LG U+ Cloud나 Naver NCloud Biz 등 에서
시스템 사양과 요금 등을 고려하여 적당한 시스템을 선택하면 된다.
MDM 서버는 SSL 적용이 필수인데 SSL 적용을 위한 인증서가 iOS에서 신뢰할 수 있는 인증기관(링크)에서 발급한 인증서를
써야 하는지 자가서명 된 인증서를 써도 되는지 모호하여 일단 자가서명 인증서를 사용하여 진행 해보기로 하였다.
ubuntu server는 설치되어 있는 상황이라고 가정하고 계속 진행을 해보자면 일단 맥의 터미널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원격 서버에 접속한다.
먼저 터미널 실행 후 ssh root@ip주소 를 입력하여 우분투 서버에 접속을 한다.
초기 서버 셋팅 시 root 라는 유저 네임은 어떻게 설정하였는가에 따라 다르겠지만 보통 root를 많이 사용하므로 유저 네임은 root라고 본다.
먼저 APM (Apache, PHP, MySQL)을 설치한다.
apt-get update
apt-get install apache2
아파치 설치가 끝나면 service apache2 start 명령어를 이용하여 아파치 서버를 시작하고
웹 브라우저에서 서버의 IP주소 또는 도메인으로 접속했을 때 아래와 같은 페이지가 뜬다면 성공적으로 설치 된 것이다.
하지만 아직 ssl 적용이 되지 않았기 때문에 https://서버주소로 접속을 하면 접속이 되지 않을 것이다.
다음으로 sudo apt-get install openssl 명령어를 이용하여 openssl을 설치한 후 다음 순서대로 따라한다.
vi 편집기 명령어는 다른 개발자분들이 쉽게 잘 설명해 놓은 자료들이 많으므로 조금만 검색하면 쉽게 찾을 수 있다.
'프로그래밍 > iOS MDM' 카테고리의 다른 글
MDM 테스트 서버 구축 (3) | 2016.04.13 |
---|---|
WSO2 Enterprise Mobility Manager 구축 [2] - MySQL 설치 (0) | 2016.03.31 |
WSO2 Enterprise Mobility Manager 구축 [1] - java jre 설치 (0) | 2016.03.31 |
MDM 서버 셋업 (8) | 2016.03.11 |
Apple MDM 이란? (0) | 2016.03.09 |